정보

2025년 청년도약계좌 완벽 가이드 모든 정보 정리

iamhappe 2025. 4. 16. 08:56
반응형

 

2025년 청년도약계좌 완벽 가이드

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에서 34세 사이의 청년들이 중장기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. 5년간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,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통해 만기 시 최대 5,000만 원 이상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

1. 가입 조건

  • 연령: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
  • 개인소득: 연 6,000만 원 이하
  • 가구소득: 중위소득의 180% 이하 (예: 1인 가구 월 374만 원 이하)

※ 소득 기준은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을 포함하며, 가구소득은 건강보험료 납부액 등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.

2. 납입 및 금리

  • 납입 기간: 5년 (60개월)
  • 월 납입 한도: 1천 원 이상 70만 원 이하 (1천 원 단위)
  • 금리: 은행별로 상이 (예: KB국민은행 연 4.5%~6.0%)

※ 금리는 가입 시점과 은행에 따라 다르며, 일부 은행은 우대금리를 제공합니다.

3. 정부기여금 구조

정부는 청년의 납입금에 대해 소득 수준에 따라 매월 최대 3만 3천 원의 기여금을 지원합니다.

연 소득 구간 매칭 한도 기여금 비율 월 최대 기여금
2,400만 원 이하 70만 원 6.0% (40만 원까지) + 3.0% (추가 30만 원) 3.3만 원
3,600만 원 이하 70만 원 6.0% (50만 원까지) + 3.0% (추가 20만 원) 3.3만 원
4,800만 원 이하 70만 원 6.0% (60만 원까지) + 3.0% (추가 10만 원) 3.3만 원
6,000만 원 이하 70만 원 비과세 혜택만 제공 0원

※ 2025년 1월부터 모든 소득 구간에서 매칭 한도가 월 70만 원으로 확대되었으며, 이에 따라 최대 기여금도 증가하였습니다.

4. 은행별 금리 비교

청년도약계좌는 여러 은행에서 취급하며, 금리와 우대 조건이 다를 수 있습니다.

은행 기본 금리 최고 금리 비고
KB국민은행 연 4.5% 연 6.0% 우대금리 조건 충족 시
우리은행 연 4.5% 연 6.0% 우대금리 조건 충족 시
신한은행 은행별 상이 은행별 상이 자세한 금리는 은행 홈페이지 참조
IBK기업은행 은행별 상이 은행별 상이 자세한 금리는 은행 홈페이지 참조

※ 금리는 변동될 수 있으므로, 가입 전에 각 은행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