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반응형

게이트웨이 이중화 프로토콜(Gateway Redundancy Protocol, GRP)

먼저 게이트웨이 이중화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End-point 즉 호스트 PC, 서버와 같은 장비들은 반드시 게이트웨이를 통해 통신을 하게 되어있습니다.

이 때 게이트웨이를 가지고 있는 장비에서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외부와 통신이 안되게 됩니다.

이를 해소하기 위해 게이트웨이를 2개 이상 사용하여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할 때 필요한 것이 게이트웨이 이중화입니다.

게이트웨이 이중화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에 대한 고가용성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입니다.

이를 통해 두 개 이상의 게이트웨이를 논리적으로 하나의 게이트웨이처럼 보이게 만들어, 서비스 안정성을 더 해주는 기술입니다.

게이트 역할을 하는 라우터 또는 L3 Switch에서 동작을 합니다.

HSRP(Hot Standby Router Protocol)

HSRPCisco에서 개발한 게이트웨이 이중화 프로토콜이다.

메인 게이트웨이 : Active / 백업 게이트웨이 : Standby

메인 게이트웨이와 백업 게이트웨이에 똑같은 가상 IP / 가상 MAC Address를 사용하여 백업 게이트웨이를 논리적으로 차단시켜 메인 게이트웨이로만 통신이 가능하다.

Priority를 값을 통해 우선 순위를 선정, Priority 값이 같을 경우 높은 IP를 가진 장비가 메인 게이트웨이가 된다.

상태 변화 : Initial - Listen - Speak - Standby - Active

- Ver 1

Group : 0~255

UDP Port : 1985

Multicast : 224.0.0.2

- Ver 2

Group : 0~4095

UDP Port : 1985

Multicast : 224.0.0.102

VRRP(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)

VRRP는 표준 게이트웨이 이중화 프로토콜이다.

메인 게이트웨이 : Master / 백업 게이트웨이 : Backup

위에 소개한 HSRP와 마찬가지로 똑같은 가상 IP / 가상 MAC Address를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.

상태 변화 : lnitial - Listen - Speak - Backup - Master

UDP port : 8888

Multicast : 224.0.0.18

반응형
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EtherChannel(LACP, PAGP)  (0) 2023.04.29
SSH / Telnet (원격 접속)  (0) 2023.04.28
티밍(Teaming)  (0) 2023.04.27
본딩(Bonding)  (0) 2023.04.27
PBR(Policy-Based Routing)  (0) 2023.04.27
07-10 12:05
반응형
Total
Today
Yesterday